|
□ 교육희망자는 누구나 수강 가능 (자격제한 없음)
|
|
5일/30시간
|
|
□ 가스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법정 안전관리자의 안정적 배출
□ 가스분야 전반에 소요되는 안전관리자 양성
|
|
-고압가스안전관리법 제 23조, 동법 시행규칙 제51조[별표 31] -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제 41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 66조[별표 19] -도시가스사업법 제30조 및 같은법 시행규칙 제 50조[별표14]
|
|
☞ 구비서류(수강신청서) 준비 후
□ 제1방법(방문신청): 한국가스안전공사 본사·교육원 및 각 지역본부 지사 방문 신청
□ 제2방법(인터넷신청) : 사이버지사(http://cyber.kgs.or.kr)를 통한 인터넷 결재 및 신청
☞ 구비서류
o 수강신청서[여권사진 1매 : 최근 3개월 이내 촬영한 여권사진(3.5X4.5cm)]
☞ 교육신청자 참조사항
- 신분증,계산기,컴퓨터용싸인펜,필기구 등 지참 입교
|
|
☞ 교육이수자 수행업무 범위
□ 특정고압가스사용신고시설[저장능력 250kg(압축가스100㎥)초과], 액화석유가스특정사용시설[공동저장시설(수용가 500가구이하),공동저장시설외의시설(저장능력 250㎏초과)], 특정가스사용시설(월예정사용량 4,000㎥초과)의 안전관리책임자
□ 액화석유가스특정사용시설[공동저장시설(수용가 500가구초과)]의 안전관리원
□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열사용기자재관리규칙 별표11 비고2의 규정에 의한 가스용보일러조종자[검사대상기기조종자의 자격(열관리기사, 열관리산업기사, 보일러기능장, 보일러산업기사, 보일러취급기능사, 에너지관리공단의 인정검사기기조종자 양성교육이수자)을 가진 자로서 사용시설안전관리자 양성교육 이수자 또는 가스기능사 이상의 국가기술자격소지자에 한함]
☞ 교육신청자 참조사항
- 신분증,사진(미제출자)계산기,컴퓨터용싸인펜, 필기구 등 - 기타 입교시간, 준비물, 가스안전교육원위치등 (홈페이지참조) ☞ 생활관(숙소)는 교육시작일 5일전까지 인터넷->마이페이지에서 접수 할수있으며,교육생 인원 또는 기상 상태에 따라.생활관(숙소)가 부족 할수 있는 이점 양지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|
1. 안전관리자로 선임조건은?
가스분야의 국가기술자격증 또는 가스관련법에 의한 양성교육이수자로써 사업별,
시설별 안전관리자의 자격과 선임인원에 대한 아래의 가스법령을 참고하시면 됩니다.
-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령 별표 3
-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시행령 별표 1
- 도시가스사업법 시행령 별표 1
2. 안전관리자 선임 후에도 지속적으로 교육을 이수해야 하나요?
안전관리자 신규종사시에 해당시설에 대한 전문교육 신규과정을 이수해야 하며,
신규교육 이수 후 매3년이 되는 해마다 전문교육 보수과정을 이수하셔야 합니다.
3. 안전관리자 수강해야 할 교육종류와 주기는?
수강해야 할 교육종류는 허가 또는 사업별로 구분되어 있으며,
우리 공사 홈페이지 사이버지사 가스안전교육원에서 전문교육 신규과정 및
전문교육 보수과정의 개설내용을 참고하시면 됩니다.
교육주기는 신규교육은 신규종사시 6개월내, 보수교육은 신규교육 이수 후
매3년이 되는 해마다 1회
4. 다른회사로 이직하면 다시 받아야 하는지?
이직 전 안전관리자로 근무하던 시설과 동일한 시설의 다른 회사로 이직하게 된다면,
기존의 전문교육 신규과정을 인정받아 전문교육 보수과정의 주기(3년마다 1회)를
준수하시면 됩니다.
접수하는 곳은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운영하는 사이버교육원에서 접수하시면 됩니다.
KGS 사이버교육원
cyber.kgs.or.kr
[1] 가스개론
1. 고압가스의 분류
(1) 압축가스 : 수소, 산소, 질소, 메탄 (상태변화 없이 압축, 저장)
(2) 액화가스 : 프로판, 염소, 암모니아, 이산화탄소, 산화에틸렌 (상온압력 액체저장)
(3) 용해가스 : 아세틸렌 (아세톤 용제주입, 고압용해 후 저장)
2. 연소성에 따른 분류
(1) 가연성 가스 : 프로판, 부탄, 일산화탄소, 수소, 아세틸렌
(2) 조연성 가스 : 산소, 염소, 공기 등
(3) 불연성 가스 : 질소, 아르곤, 이산화탄소 등 (연소와 무관한 가스)
■ 가연성 가스를 분류하는 법적 규정
- 폭발한계 하한 10% 이하 , 상한과 하한의 차이 20% 이상
3. 독성유무의 분류
(1) 독성가스 : 염소, 아황산가스, 일산화탄소, 암모니아, 산화에틸렌, 포스겐 등
(2) 비독성가스 : 산소, 질소, 아르곤, 부탄, 메탄, 헬륨 등 (비유해 가스로도 분류됨)
▶ 허용농도 : 100만분의 5,000 (5,000ppm)
▶ 암모니아, 염화메탄, 실란, 삼불화질소는 독성가스에서 제외되나 운영상 독성가스로 분류
4. 연소범위 = 연소한계 = 폭발범위
- 메탄 : 5 ~ 15%, 프로판 : 2.1 ~ 9.5%, 부탄 : 1.8 ~ 8.4%
5. 토리첼리의 실험 : 압력 = 밀도 X 높이 (1기압 = 76cmHg = 1.0332kg/cm2 = 0.1013Mpa)
6. 절대압력 = 대기압 + 게이지압력 (압력계 8kg/cm2 -> 절대압력 9.0332kg/cm2)
7. 섭씨온도 와 화씨온도
(1) 섭씨온도 = F = 9/5 X C + 32
(2) 화씨온도 = C = 9/5 X (F - 32)
8. 비중
(1) 가스비중 : 가스의 무게와 공기의 무게를 비교한 값
(2) 액비중 : 물의 밀도와 액체의 기준량 cm3(리터)의 무게를 비교한 값
▶ 주기율표에 따른 비중계산 (C 탄소 : 12g, H 수소 : 1g, O 산소 : 16g, N 질소 : 14g)
예) 공기는 질소(N2)79% 와 산소(O2)21%로 구성
= (14 x 2) x 0.79 + (16 x 2) x 0.21 = 29g
<메탄 CH4 = (12 x 1) + (1 x 4) = 16g>
9. 증기압 - "온도와 종류에 따라 변하고 양과는 무관하다. 양에 관계없이 증기압은 동일"
10. 액화가스의 부피팽창
모든 물질은 온도가 높아지면 부피가 커지고, 낮아지면 부피가 작아진다.
<보일-샬의 법칙>
일정량의 기체의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하고 절대온도에 비례한다.
11. LNG 의 특징
- 메탄이 주성분, 비점은 -162C, 무색무취액체, -113C 이하에서는 건조된 공기보다 무겁다.
<분자량 : 16, 비중 : 0.55, 비점 : -162C, 폭발범위 : 5 ~ 15%>
- 액화산소, 액화질소의 제조 / 냉동창고에도 이용
12. LPG 의 특징
- 무색무취, 기화 및 액화가 쉽다, 공기보다 무겁고 물보다 가볍다, 액화시 부피감소
- 연소시 다량의 공기필요, 발열량 및 청정성이 우수, 유지류 및 천연고무를 녹이는 용해성
- 프로판 폭발범위 : 2.1 ~ 9.5% , 부탄의 폭발범위 : 1.8 ~ 8.4%
13. 일반가스
(1) 산소 : 조연성 가스, 비점 -183C, 무색무취, 물에 약간 녹는다. 공기중 21% 함유
- 산화물생성(단 희가스, 할로겐원소, 귀금속과는 반응하지 않는다.)
- 수소반응시 폭발 및 물 발생, 탄소화합시 일/이산화탄소 생성
<원자량 : 16, 분자량 : 32, 밀도 : 1,429>
(2) 염소 : 상온에서 자극적 냄새, 황록색기체, 비점 -34C, 기체시 공기보다 2.5배 무거움
- 독성가스 : 허용농도 293ppm (메탄, 에탄등과 반응시 폭발성)
<원자량 : 35.5, 분자량 : 71, 비중 : 2.5(기체) 1.4(액체), 비점 : -34C>
(3) 암모니아 : 냉매제로 많이 사용, 가연성가스의 예외로 취급
- 자극이 강한 냄새를 가진 무색기체, 물에 잘 용해된다.
<분자량 : 17, 비중 : 0.59, 비점 : -33.4C, 허용농도 : 7,338ppm>
- 염산수용액과 반응시 흰연기 발생
(4) 수소 : 비점, 끓는점이 가장 낮다. 무색무취기체로 가연성물질 (독성은 없다.)
- 가장 밀도가 작고 가벼운 기체
- 산소와 수소의 혼합가스 연소시 2,000C 이상의 고온을 얻는다.
<원자량 : 1.008, 분자량 : 2.016, 비점 -252.8C, 폭발범위 : 4 ~ 75>
- 용접, 절단사용 / 염소,불소와 반응시 폭발/ 공업용으로 널리쓰임
(5) 아세틸렌 : 3중결합을 가진 불포화 탄화수소, 무색기체, 아세톤 1몰에 아세틸렌 25몰이 녹음
- 산소와 연소시키면 3,000C 를 넘는 불꽃을 얻는다. 공기중에서 발화점이 낮다.
- 0.1Mpa 이상에서 폭발 및 분해 (수소와 탄소로 분해)
- 구리함유량이 62% 초과 동합금은 아세틸렌설비에 사용해서는 안된다.
<분자량 : 26.04, 비점 : -83.8C, 폭발범위 : 2.5 ~ 81> 폭발범위가 가장크다.
[2] 사고분석 및 예방
1. 사고통계분석 : 취급부주의 58.5% (사용자 39.9%, 공급자 13.9%, 굴착공사 4.7%)
위에 내용보다 더 많은 도움이 필요하다면 아래의 카페에서 도움음 받으시면 됩니다.
이미 많은 분들이 카페에 가입해서 합격을 하셨습니다.
▷가스안전관리자▶소방안전관리자들의 정보공유/자격증/선임 모임카페
아직도 혼자 공부하세요~~^^
같이 공부하고 같이 합격 하세요.
지금 바로 가입하세요.
https://cafe.naver.com/kgscafe
가스소방안전관리자모임 : 네이버 카페
가스안전관리자(가스사용시설안전관리자) 소방안전관리자(1급,2급,3급,특급) 기출문제 요점노트 합격후기
cafe.naver.com
이름도 비슷한 짝퉁카페를 조심하세요~~~^^
#가스사용시설안전관리자 #사용시설안전관리자 #가스안전관리자 #가스자격증